전체 글67 자기결정이론의 변이와 필터버블로 만들어진 극단 자기결정이론(SDT:Self-Determination Theory) [개요] 인간행동 동인을 이해하기 위한 심리학 이론으로 Edward L. Deci와 Richard M. Ryan에 의해 최초 제안되었다. 자기결정이론은 내적동기(intrinsic motivation :개인의 활동 자체에서 오는 행복)과 외적동기(extrinsic motivation : 생존과 보상)를 구분하여 매슬로우의 욕구 위계 이론상의 Pleasure(생리, 생존, 사회)가 충족된 현대사회에서 enjoyment(존경, 자아실현)으로의 행복 기준의 전환을 강조하는 이론이다. [3가지 심리적 욕구] 자율성(Autonomy): 행동 결정에 자율성이 충족될때 더 큰 동기와 만족을 느낀다는 이론으로, 자율성의 심화과정은 아래 자.. 2025. 1. 3.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1-3 작명(Naming rule) 어떤 DA이건 초기 설계시 우선 세우는 원칙중 하나가 Naming rule 이다.첫째로 가독성이고 유지보수시 개발 담당자이건 DBA에게 혼선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간단하게 절대적 룰이라고 말할 수는 없으나 개인적 경험치로 말해 보겠다.중요한건 한눈에 잘 들어오며 패턴이 일정하다는게 중요하다.MS의 경우 DMV(Dynamic Management Views)에서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나 SSMS만 보고 작업시 실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전체적으로 작명은 너무 길지 않되 의미가 한눈에 들어오는게 좋다. ※ 스키마명4자미만(보통 3글자로 사용되며 기본 스키마인 DBO를 참조해서 그러한듯 싶다.)의 고정형 문자로 보통 지정하고 비지니스 타입으로 구분하는게 일반적이며비지니스가 복잡하지 않는 경우 기준정보/배.. 2025. 1. 2. 번아웃 증후군(Burn-out Syndrome) 그리고 연민(Compassion) 번아웃(Burn-out)은 불타버리다, 소진되다등의 Burn 이라는 영어단어와 바깥쪽, 완전히라는 의미의 out의 합성어로 만들어진 단어로, 1974년 미국 심리학자 허버트 프로이덴버거(Herbert Freudenberger)에 의해 최초 제안되었다. 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무기력감, 일상속 소외감, 인정욕구등을 설명할때 사용되었으며 SNS의 발달과 함께 최초 의료용어를 넘어 일반 용어로 확대되었다. 번아웃의 주요 동인인 스트레스는 일반적으로 근로속에서만 찾게되는 경향이 있으나 실상 다양한 형태로 표출된다. 21세기 온라인 커뮤니티는 다양한 형태로 진화되었다. 국내의 경우 아이러브스쿨 - 네이버카페 - 밴드등등이 다양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커뮤니티들이 다양한 개개인들의 취향과 더불어 수백만개가 넘게 유지.. 2025. 1. 2. 아비투스(habitus) 그리고 red herring 자유지상주의자(Libertarian)들에게 red herring 되어 재생산된 아비투스(habitus)에 대해서 논해보자. ※ 어원 :라틴어이며 "소유"라는 의미의 "habere"에서 파생되었고, 개인이 사회적 환경에서 형성한 습관이나 태도등을 말한다. ※ 출현 :20세기 철학교사이자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가 1979년에 발표한 구별짖기(La Distinction:원제 - 차별: 경험의 판단에 따른 사회적 비평) 의 핵심 주제로 발생 ※ 부르디외가 말하고자 했던 아비투스 :고전 거시 경제학의 기반은 수요와 공급의 순환관계이며 그 바탕에는 인간의 현명한 소비가치를 대전제로 삼고 있다.하지만 정작 중요한 인간의 다원적이며 원시적 탐욕으로 인한 비합리적 판단에 대해서는 논하지 못했다.때마침 19세기말(18.. 2024. 12. 31. 똘레랑스(Tolérance) 그리고 일반화의 오류 어디서 한번쯤은 들어봤을 용어이며 라틴어 Tolerare에서 유래된 말로 흔히들 "관용"이라고 불리운다. 원래 라틴 어원에서는 "인내하다"를 의미하며 우리말로 직역할때는 관용보다는 "용인" 정도가 좀더 현실에 적합하게 보인다. 가장 흔한 예로 과거 "코리안 타임 : 일정 시간 약속 시각보다 늦어도 괜찮다는 과거 한국인의 시간관을 비꼰 용어" 정도가 아닐까 싶다. 물론 산업화 이후 의식 변화로 대부분 사라졌으나 여전히 이에 적용되는 사람들이 종종 존재한다. 여튼 타인에게 인내의 범위내에서 용인되는 일종의 배려의 한계치라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영어 발음으로 톨러런스라 불리는 똘레랑스는 IT를 비록한 산업전반에서도 많이 활용된다. 가령 SCM의 물류분야 중 해상운송의 경우 자연환경에 특히나 지배를 받는 경우.. 2024. 12. 30. 페르소나(persona) 그리고 진화 페르소나(persona)는 가면을 뜻하는 라틴어로 연극에서 배우가 착용하는 가면을 가리키기도 했으며, 현대에서는 사회학/심리학/철학등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 페르소나(persona) 에서 파생된 단어가 person 으로 "인간"으로 기의되나 좀더 정확한 의미는 "인격체" = "인격을 갖춘 사람" 으로 해석함이 옳다. human 이 생물학적인 의미에서의 인간을 의미한다면 person은 위에 언급한 것과 같이 생물학적 인간에 존엄을 부여된 상태로 생각하면 된다.그러면 현대 페르소나는 어떤 의미로 사용될까? 인간은 개별 타자들의 주체 속 자신의 표상에 대해 원칙적으로 간섭할 수 없다. "타인은 지옥이다" 라는 유명한 경구가 설명하듯 주체로써 나는 나 자신에 한정되고 타자에게 표상되는 나는 타자의 주관.. 2024. 12. 27. 이전 1 ··· 6 7 8 9 10 11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