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6 3. 데이터베이스 구조(1) - 해마와 대뇌 피질(cerebral cortex)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는 컴퓨터의 발전과 함께한다.우선 간단하게 컴퓨터의 구조를 살펴보자 1. CPU (Central Processing Unit) ㄴ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로, 모든 계산과 논리 연산을 수행한다.ㄴ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며,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며.ㄴ 다중코어를 가지고 동시에 여러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ㄴ 현재 기준 최대 클럭수는 5GB 가 넘어가며 코어는 64코어가 넘어가고 있다.2. L1 캐시 ㄴ CPU 내부에 위치한 가장 빠른 메모리로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와 명령어를 저장하여, ㄴ CPU가 필요할 때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ㄴ 용량이 작지만, 속도가 매우 빠르며 일반적으로 L1 캐시는 각 코어마다 별도로 존재한다.ㄴ 32~64KB 의 용량을 가진다.3.. 2024. 12. 24.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1-2 정형 vs 비정형(EAV) 정형과 비정형 기초적인 문제임에도 대부분의 개발자들이 의외로 인지하지 못하는 부분이다.고급언어(화면) 개발자들 중에는 교조적인 경우가 많다.단순히 DA 가 본인들과 대비해 돈만 많이 받아먹는 하마로 폄훼하는 경우가 많다.(의외로 노골적으로 표현하는 개발자들이 아주 많다)워딩이 조금은 다를 수 있지만 의미는 동일하게 "내가 해도 그 정도는 하는데 시간이 없는거야" 로 귀결되고 모델링만이 아니라 튜닝도 마찬가지다. 허나 정말 그들이 뭘 알고 하는 말일까?물론 허접한 DA가 있을 수도 있다.내가 말하는 것은 정상적인 DA에게 조차도 그런 인식이 존재하는데 경력과 무관하게 고급언어 개발 3년차가 넘어가면 다수가 이런 사고방식에 젖어드는 것 같다.하지만 그들의 비판에는 늘 이론이 부족하다.아스팔트위 태극기와 성.. 2024. 12. 23. 2. 데이터베이스 역사(3) - RDBMS 출현 에드거 커드 개발자들에게 가장 문제가 뭐라 생각하나?구차니즘 아니면 투사?아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론의 부재이다.현직에서 보면 이 심각성을 적나라하게 보게된다.일반 고급언어 개발자들에게 DBMS는 보조수단일 뿐이다.이에 따른 결과 DBMS는 시간이 지날수록 비정상적인 분화가 촉발한다.2024년 거의 대부분(90%이상)의 DBMS는 4세대 RDBMS(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3세대 NDBMS에서 문제점을 보완하고 이를 창안한 사람은 에드거 프랭크 커드(Edgar Frank "Ted" Codd, 1923년 8월 23일 ~ 2003년 4월 18일) 로 아명인지 확실치 않으나 닉네임 "테드"로 불리운 과학자이다.당연히 튜링상 수상자이며 .. 2024. 12. 20. 지배 (cracy : kratos) 그리고 투사(projection) 지배하려는 자 그들의 비속한 투사.그리고 리플리 증후군으로 오염되고 있는 민중2025년에는 무엇이 내게 빛이 될수 있을까? 우리가 널리 인지하고 있는 "민주주의" 불리우는 단어는 Demos(민중)와 지배를 뜻하는 kratos(지배) 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단어로 실제 의미는 어떠한 이념 아니라 "민중(대중)에 의한 지배" 라는 지배구조를 일컫는 말이다.ism 을 접미사로 사용하는 이념체계가 아니라는 말이다. 우선 지배사상의 시류와 지배층의 투사에 대해 논해 보고자한다. Meritocracy : [어원] Merit(가치) + kratos(cracy : 지배) [번역] 능력주의 [의미] 개인의 능력과 성과를 바탕으로 검증된 지배사상으로 개인의 다양한 능력이 아닌 획일적인 기준으로 능력자와 패배자를 나누고.. 2024. 12. 20.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1-1. data type 실전 데이터베이스를 시작한다.예전 튜너로 근무하던 중 자바 개발자와 이런 대화를 나눈 기억이 있다. 나 : "**님 정말 모델링 힘드시죠?"개발자 : "아뇨 전 모델링이 너무 쉽고 재미있던데요"나 : "대단하세요. 전 20년을 해도 여전히 어렵던데...." 정말 놀라운 대답이었다.상황마다 정답이 없는 모델링이 가장 쉽다고 하니...누적되는 건수는 얼마나 예상되는지에 따라 파티션도 고려해야할지EAV를 적용할지 넓혀야 할지(OLTP와 OLAP에 따라 다르다)화면상 조회 조건 parameter는 어떤식으로 받는게 유용할지등등...진심 부러웠지만 실상 테이블들을 보고는 무척 당황스러웠다.메야 !!!!!!!!!!!! 다양한 RDBMS가 존재하고 조금은 상이하나 기준은 MS SQL server를 기준으로 설명하겠.. 2024. 12. 18. 2. 데이터베이스 역사(2) - 저장장치의 진화 언어 그리고 기록에서 배태된 데이터베이스의 출현은 컴퓨터의 진화와 함께 한다. 초기 컴퓨터가 빠른 연산을 목표로 발전되었고 현재 진행형이기도 한다.비록 아이돌 센터는 아니지만 저장장치 역시 진화를 함께하고 있다. 초기 저장장치로는 Magnetic tape 일명 자기 테이프다.저렴한 생산단가로 초기 유용하게 사용되었으나DB 개발자 입장에서 설명하자면 데이터에 대한 접근 방식이 오직 순차적 접근(seq access)만 지원한다. 임의접근(random access) 지정 포인터로 접근이 안되다보니 현대의 DB개발자에게 꼭 용도를 생각하라고 한다면 backup 용도 정도로 생각하지 않을까 모르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세대 DBMS인 HDBMS(계층형) 대표격인 IMS에서 꽤나 활용도가 높았다.여기서 1세대 .. 2024. 12. 17. 이전 1 ···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