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7 부요(富饒)함 안나 카레니나의 법칙이라고 들어 보았을 것이다. 이 법칙은 톨스토이의 소설 [안나 카레니나]에서 유래되었고 첫 문장이 다음과 같다. "행복한 가정은 모두 엇비슷하고 불행한 가정은 불행한 이유가 제각기 다르다." 재미나게 읽었던 제레미 다이아몬드 [총균쇠] 에서도 차용되는 부분으로 원하는 결과를 취하기 위해선 여러 가지 조건들이 단 하나라도 누락되지 않고 모두 충족되어야 만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다이아몬드 교수의 의견에 동의한다. 우리의 일상 속 행복은 어떠할까? 짧은 인생 속에서 채득한 행복은 누락된 획일적 조건을 대체할 부요(富饒)함이 아닐까 싶다. 성공 혹은 행복의 모든 조건을 탄력적으로 어렴풋하게,소박하지만 열정이 식지 않도록 규정할때 나의 성취감은 배가되었던 것 같다. 부요함은 돈으로 가질 수 없.. 2025. 1. 31. 선물 선물에 대해서 알아보자. 국어 사전에서는 "인정을 담아 주는 물건, 또는 그것에 상응하는 것" 으로 정의한다.영어로 선물은 Gift 와 Present 가 있는데 우리가 흔히 말하는 타자에게 제공하는 특정 시점의 물리적인 물건이라면 Gift보다는 Present가 정확한 경우가 많다.(ex : I received a present for my birthday.)다만 Gift의 경우 좀더 감정적인 요소가 강하며 포괄적이다.(ex : Giving a gift is a wonderful way to show appreciation) 언어는 권력(미셀 푸코)이기 전에 역사를 통해 진화한다."선물"은 자급자족이 가능한 최소 군집내 생존의 수단에서 기인한다고 한다. 하라리의 사피엔스에서 말하는 농업혁명 이후 어떤 사람.. 2025. 1. 23. 세상에서 가장 먼 거리 from 이공계의 시야 이공계가 바라보는 시(詩) 풀이...? ㅋㅋ가볍게 읽어주길 바란다. 세상에서 가장 먼 거리는 사람의 머리와 가슴까지의 30센티밖에 안되는 거리입니다. 머리에서 가슴으로 이동하는데 평생이 걸리는 사람도 있습니다[하늘 호수로 떠나는 여행] - 류시화 시상 속 머리는 냉철한 사고와 분석(로고스)을 담당하는 곳 전두엽 치환하면 적절해 보이고가슴은 심장(파토스:감성)이라 말하지만 실 공간에서는 인간의 감성과 공감에 가장 중요한 부분 뇌의 변연계에서 담당한다.특히나 심장은 신체에서 하는일이 없고 근래 심정지 = 죽음 이라는 공식도 뇌의 정지를 죽음으로 보는 시각으로 전환되어 가고 있는 트랜드에 무슨~~~~ 말도 안되지 !! 둘사이의 물리적 거리는 시상에서 나오는 30cm이나 실상 전두엽과 변연계는 뇌의 앞부분.. 2025. 1. 22. INDEX 1. INDEX는 정렬(Sort)이다. 현 RDBMS 들은 INDEX(색인:책갈피)를 이용이 일반화 된 상태이고 이를 모르는다는 건 라스베가스에서도 상상 할수 없는 일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쿼리 작성을 하는 개발자들의 경우 정확한 개념없이 INDEX를 인지하고 말하며 소비한다.오늘은 INDEX의 기본 메커니즘을 알아보도록 하자. 인덱스의 분류는 다각도로 할 수 있으나 저장 위치를 기준으로 clustered index와 흔히 말하는(묵시적으로) nonclustered index가 있다.clustered index 라는 건 말 그대로 테이블 자체 데이터의 정렬을 말하는 것이다.당연히 테이블 자체 컬럼의 정렬이니 테이블당 1개밖에 만들 수 없는 것이다.그래서 종종 clustered index가 존재하지 않는 테이블에서 주사용 index 중.. 2025. 1. 21. Tit For Tat TFT(Tit For Tat : 눈에는 눈 - 협력, 관용, 보복)군집간 혹은 개인간 모든 네트워크에 널리 적용되는 말이다.전략적인 전두엽이라면 협력, 관용, 보복을 치밀하게 이익에 부합하게 정리하고 행동하겠지만 세상살이가 다 그리만 흘러가질 못한다.종종 가십거리가 화두로 올라올때면 전두엽은 냉장고 냉동칸 깊숙히 보관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로고스는 눈을 감고 파토스는 군중속에 복종되며 에토스는 합종되어 먼지가 된다.군중 속 인간은 늘 두렵다.나의 위치와 타자와의 관계, 시선 그리고 고립집단동조는 이 모든 두려움에서 안락함을 선사한다.이 두려움은 분노를 유발하고 곧바로 대상을 찾으며 냉정하게 혐오를 투사한다.우리는 군주적 사고방식으로 자신의 편의를 위해 세상이 움직이길 바란다. 불행한 사건을 특정인의 탓으.. 2025. 1. 20. 조인의 순서 Driving table(Build Input) Drived table(Prove Input) SQL의 기본의 select 다.정형이건 비정형이건 목적 지향적 언어이므로 가장 중요한 것은 select 이며 모델러의 역량은 최종 결과물인 select를 기준으로 한다.모델러의 머리속에 그려지는 dataset의 다양한 조건에 맞게 설계하게 되는데 이때 select 쿼리 작성 능력에 따라 설계하기 마련이다.특정 테이블에 생각외로 컬럼이 많고 빈 컬럼이 많다면 모델러의 쿼리작성 능력을 의심해 볼만하다.반대로 모델링된 테이블들을 업무를 배제한채 함부로 판단해서도 안된다.그만큼 상황에 따른 대처방법이 다양한게 모델링이기 때문이다. select는 거창하게 말하지만 사실상 별게 없다.출력되는 부분은 select절에 대상 테이블은 from절에 필터링 조건은 where 절에 사실상 이게 전부이다.엑셀의 필터기능과 크.. 2025. 1. 20. 이전 1 ··· 4 5 6 7 8 9 10 ··· 12 다음